횡설수설 영화리뷰2013. 4. 3. 10:17

(참고로 모든 오프닝은 당시에 쓴 겁니다. 유의 부탁 드립니다.)

 

 뭐....그렇습니다. 슬슬 이제 돈이 모자라는 관계로 조조와 심야로 영화가 슬슬 몰리고 있습니다. 둘 다 4000원이니 일단 수입이 적은 저로서는 굉장히 매력적이죠. 그리고 요즘 어떤 이유로 인해서 좀 더 할인이 되고 말이죠. 덕에 한동안은 영화 라이프를 즐겁게 즐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 리뷰 시작합니다.

 

 

 

 

 

 

 

 사실 이 영화는 올해 계획에 없었습니다. 정확히는 개봉하는 줄도 모르고 있었다 라는 정도일까요. 그러나 이 영화는 전작이 있습니다. 게다가 거의 같은 배우가 나오는 매우 수준 높은 작품이 이 영화의 전작이지요. 다만 그 영화는 이 영화와는 다르게 18세라는 점과 1992년작이라는 벽이 버티고 있어서 얼마 전에야 구해서 볼 수 있었습니다.

일단 전작에 관해서 이야기를 잠깐 하자면.....정말 명불 허전이라는 말에 걸맞는 영화 압니다. 정말 잘 만든 영화라고 할 수 있죠. 정말 배우의 연기력, 스토리, 연출 이 삼박자가 정말 완벽하게 맞아 떨어지는 영화 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배우들의 연기력이었습니다. 매우 인상적인 연기를 펼치는 배우들이 다 나왔었죠.

이번 영화에도 그 배우들중 일부가 출연 합니다. 일단 속편격이기 때문에 (사실 앞 영화랑은 내용상 아무 관계가 없다고 해도 무방합니다만 일단은 속편이기는 속편이므로) 수순은 당연한 것이겠습니다만 일단 배우진들 위용은 당당합니다.

일단 엘리자베스 1세 역의 케이트 블란쳇은 이번 속편에서 의외로 인간으로서의 역을 잘 소화 해 냅니다. 전편에서는 역사적인 면에 좀더 가까운 편이엇기에 인간으로서의 면에 관해서 약간 부실했습니다만 이번에는 오히려 정치적 수완에 관해 약간 부실해 진 거 같기는 합니다. 그러나 역시 연기는 인상적이었습니다. 일단 카리스마면에서 왕 역을 맞는 수많은 남자배우들보다 더 낫다고 느껴질 정도 였으니까요.

여기서 재미있는 것을 하나 알아냈는데 전작에서 주로 연기한 부분이 바로 일반적으로 엘리자베스 1세가 나오는 영화에서 줄곧 비춰지던 모습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예를 들면 주디 덴치가 엘리자베스 여왕으로 나왔던 셰익스피어 인 러브에서는 그야말로 카리스마 그 차제로 나옵니다. 하긴 뭐....이미 007에서 M역을 멋지게 소화해 낸 배우이니 할 말이 없기는 합니다. 그리고 헬렌 미렌 (더 퀸에서는 엘리자베스 2세를 맏고 엘리자베스 라는 영화에서는 엘리자베스1세를 맡은 배우)의 경우도 거의 비슷한 연기를 보여 줍니다. 사실 지금 그 영화들은 본지 너무 오래 되어 제가 제 기억을 믿을 수 없기는 합니담 일단 전 그렇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외에도 제프리 러쉬 (캐리비안의 해적에서 바르보사 선장역으로 나오는 그 배우) 도 굉장히 인상적인 연기를 보여줍니다. 일단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바르보사를 만약 생가하고 보신다면 다른 사람을 보는 느낌일 겁니다. 일단 이 영화에서는 충신이며 여왕을 위해 무엇이든지, 그것이 지저분한 일일지라도 해 내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그런 역할을 굉장히 능숙하게 소화 해 냅니다.

이 영화에서 가장 특징적인 얼굴이라고 한다면 의외로 클라이브 오웬입니다. 클라이브 오웬을 제가 처음으로 본 영화는 본 아이덴티티에서 제이슨 본을 잡으려고 파견된 피아노 선생님(;;;)으로 처음 보았고 제가 이 사람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시대극을 한 것은 킹 아더에서 아더왕 역할을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 그는 굉장히 익숙한듯한 연기를 선보이는데 그것도 그럴 것이 그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역할인 매력남이면서도 진지한 역할을 맡았기 때문입니다. (사실 요즘 눈으로 보기에 그런 스타일을 하고 다니면 매력남이라기 보다는 지저분한 놈이지만요;;;)

이 세 배우의 연기에 더불어 그 외의 조연들도 인상적인 연기를 펼치며 영화를 이끌어 나갑니다. 영화 자체에 이 사람들만 봐도 즐거울 지경이죠.

그러나 그 이외의 미덕이 없습니다.

스토리는 사실 역사책에 보면 다 나오는 내용이기에 딱히 스포일러라고 할 만한 것이 없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어느 정도 각색은 있기에 발설하기가 약간 꺼려지기는 합니다. 그러나......그만큼 스토리가 단선률입니다. 배우들의 극도로 세공된 연기에도 불구하고 단선적이고 단조로우며 지겹기까지 할 수도 있는 스토리가 그대로 노출 되어 버립니다.

게다가 그 단순한 스토리마저도 상당히 산만하게 진행되는 관계로 영화가 전작에 비해 너무나 실망스러운 영화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특히 지적하고 싶은건 두가지인데 편집과 예고편입니다. 특히 이번 영화의 예고편은 실제로 노골적인 낚시입니다. 예고편에서는 일단 전투에 관해서 잔뜩 기대하게 만드든데 말이죠, 전투 정말 맥빠지게 끝납니다. 제 인생에서 이런 김빠지는 전투는 난생 처음이었습니다. 하긴 뭐.....제작사가 워킹 타이틀 찍혀 나오는 거 보고 예상은 했었습니다만. 참고로 워킹타이틀은 로맨틱 코미디 명가로 유명합니다. 최근에 인터프리터나, 새벽의 황당한 저주, 뜨거운 녀석들로 약간 다른 노선을 타고는 있습니다만 아직도 로맨틱 코미디에 명가라는 말을 지킬 만큼은 건재합니다. 그러나 전반적인 영화 작품을은 볼 때 원체 전투에 관한 감각은 부족한 편입니다.

편집은....실망스럽기 이를데가 없습니다. 영상 차제로 봐도 시간이 애매모호하게 처리 된 부분이 보이지만 더 큰 문제는 음악과의 조화입니다. 음악은 잘 작곡이 되었으나 영상의 적재 적소에 들어가 있지 못합니다. 심지어는 아마추어적인 면도 보입니다. 이 정도면 솔직히 치명적이죠.

그러나 일단 영화 작품들로 볼때 다음주까지는 일단 (물론 식객과 색, 계를 보지 않으셨다는 전재 하에) 볼만한 영화중 하나일 거 같습니다. 다음주는? 글쎄요, 일단 마이클 클레이톤과 우리동네가 어떻게 나왔는지 먼저 봐야겠죠.

반응형
Posted by 라피니
횡설수설 영화리뷰2013. 4. 3. 10:16

(참고로 모든 오프닝은 당시에 쓴 겁니다. 유의 부탁 드립니다.)

 

뭐....그런 겁니다. 슬슬 12월이 다가오고, 여름 블록버스터 시즌과는 약간 다른 겨울 대작들이 슬슬 올라오고 있는 가운데....저도 영화표 예매로 나가는 돈이 만만치 않은 달이기도 합니다. 사실 어쩌면 여름보다 영화쪽에 돈이 더 나가는 계절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블록버스터 DVD도 대거 출시되기도 하고, 작품성과 재미를 적절히 갖춘 작품들이 의외로 겨울에 몰리니까요.

그럼....리뷰 시작하겠습니다.

 

 

 

 

 

 

 

 

이 영화는 아시는 분들은 아시다시피 컴퓨터 그래픽 영화입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으로 부르기에는 문제가 있죠. 그 이유부터 살펴 보겠습니다.

이 영화의 특징중 하나가 실제 배우들과 생김새가 거의 비슷한 캐릭터가 활보 합니다. 심지어는 안젤리나 졸리의 경우에 보면 바로 알아볼 수 있을 정도죠. 베오울프의 부하로 나오는 사람도 여기저기 자주 출연하는 배우인 관계로 알아보기가 쉽습니다. 이런 상황이 나오는 이유는 예전, 이 영화의 감독인 로버트 저메키스가 만든 가공할만한 크리스마스 좀비(!) 영화, 폴라 익스프레스에서 시작 됩니다.

이 영화가 왜 좀비가 나온다고 제가 평을 때리는지 아시는 분들은 아실 겁니다. 전 사실 이 영화 매우 좋아하기는 합니다만 디지털 캐릭터들의 모습은 사실 좀 혐오스러울 정도의 부분이 드러나더군요. 그 뻣뻣하고 이상한 질감의 디지털 배우를 보고 있자니....기분이 참 묘하더군요. 전 이 영화 사실 굉장히 재미있게 보기는 했습니다만 배우쪽은 영 뻣뻣한게 마음이 안 들었습니다. 그 때 사용된 기술이 (영화를 만든 사람들이 주장한) 반지의 제왕의 골룸보다 한 단계 발전된 기술인 퍼포먼스 캡쳐라는 것이었습니다. 골룸에게 적용된 기술의 이름은 모션 캐쳐인데 그 보다 발전했다고 주장하는 이유는그 기술로 표정을 잡아 낼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표정은 개뿔이;;;; 마네킹이 움직이던 상황이었습니다.

그리고 ....역시 저메키스 감독의 다른 애니메이션, 몬스터 하우스에서 같은, 그러나 한 단계 발전된 (역시 영화쪽 사람들 주장입니다) 기술을 선보입니다.

그러나, 몬스터 하우스에서는 일반적인 인간의 모습과는 거리가 있는 모습을 선사 함으로서 (이 부분은 사실 픽사의 방식과 일치합니다) 훨씬더 애니스러운 감성을 부여 합니다.

그런 방식에서, 베오울프는 다시 또 한번 기술의 도약을 보여줍니다. 이번에는 좀 더 인간과 같은 모습은 선사하고 있지요. 약간 어색하긴 하지만 말입니다. 그리고....이쯤에서 이 영화가 과연 애니메이션의 범주에 속하는지, 아니면 영화의 범주에 속하는지 의구심을 가지게 됩니다.

미국에서 심의를 내릴 때, 이 영화는 애니메이션으로 분류 되었습니다. 그리고 국내 개봉에서도 영화 전반부에 상당한 고어 장면과 야한 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애니메이션으로 이해 되었다고 생각되는 등급 (15세 관람가 입니다.)을 받았습니다. 만약 실사에서 그런 장면 나왔으면 절대 그 등급 못 받았을 겁니다.

그러나 이 영화는 애니메이션이라 보기에는 어폐가 큽니다. 실제로 이 영화는 '배우들'이 '퍼포먼스 캡쳐'라는 방식을 사용해서 영화에 생명을 불어 넣었기 때문입니다.

좀 더 풀어서 말씀드리자면, 온 몸에 컴퓨터 인식용 구슬을 붙이고 (심지어는 얼굴까지) 그에 맞는 연기를 한 다음 거기에 컴퓨터로 덧씌운 영화입니다. 한 마디로 배우의 연기를 그대로 보고 있는 겁니다. 이런 상황에서 이 영화를 과연 애니메이션이라고 분류 할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해서는 전 회의적입니다. 그러나 판단은 여러분들의 몫이므로 꼭 이렇다 라는 이야기는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배우들은.....쟁쟁한 사람들이 포진해 있습니다. 특히 예고편에서 이미 안젤리나 졸리가 매우 매혹적인 모습으로 등장하는 장면이 나왔죠. 그 외에도 굉장한 연기파 배우인 두 사람, 안소니 홉킨즈와 존 말코비치가 나옵니다.

그리고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배우는.....솔직히 누구라고 이름을 대도 모르실 겁니다. 이름은 레이 윈스턴, 그러나 그 보다 좋은 것이 있죠. 디파티드의 미스터 프렌치 역으로 나왔던 배우 입니다. 사실 그 전에 나니아 연대기에서 비버 목소리로 나온 적은 있습니다만 그 외 영화에서 얼굴을 알릴만한 일이 별로 없었습니다.

배우의 목소리는 한 마디로 잘 어울린다 라고 표현이 가능 합니다. 결국 지지고 볶고 하지만 일단 디지컬로 한 번 덧씌운 영화이기 때문에 목소리에 관한 부분으로 판단이 들어 갑니다. 결국에는 인식적인 문제인 겁니다. 실제로 대부분의 배우들은 잘 어울리게 나옵니다. 부관으로 나오는 브랜단 글리슨의 경우도 (일단 가장 잘 알아 볼 수 잇는 배우입니다. 목소리의 특징도 그렇고, 특히 해리포터 시리즈에서 매드아이 무디로 나오니 말입니다.) 굉장히 배역에 잘 어울립니다.

그러나......거기서 끝입니다. 배우들은 쟁쟁한데, 캐릭터의 설명이 너무나 썰렁합니다. 너무 특징이 없다고나 할까요? 영웅은 나약하지만 결국 영웅이고, 부인은 현모양처에, 악당은 유혹하고......너무나 전형적인 구성으로 밀어 붙이고 있습니다. 결국 식상한 이야기란 말이죠. 자세한 스토리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지만 이 영화도 결국 원작소설이 있습니다. 또 다시 축약의 문제일거라 예상이 가능하지만 일단 제가 원작을 읽지 않은 관계로 패스 하기로 하겠습니다. 아무튼간에, 스토리 자체는 예상 가능하고 직선적이며 인물들은 매우 수동적으로 움직입니다. 어쩌면 그것이 이런 영화의 매력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픽사의 애니메이션과는 매우 다른 모습입니다.

대신....이 영화의 미덕이라 주장하는 스펙터클은 의외로 굉장히 좋습니다. 영화 자체는 굉장히 시간이 잘 갑니다. 특히 베오울프의 모험은 일종의 시각적 향연이라 부를 수 있을 정도로 굉장합니다.

그럼 그래픽에 대한 이야기로 넘어가 볼까요? 일단 배우들을 표헌하고 있는 디지털이란 외피는 생각보다 매력적입니다. 그다지 위화감이 크지 않고 생각보다 감정 표현도 굉장히 자세하게 잘 나오는 편입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기술력의 한계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어색한 장면도 꽤 나옵니다.

그보다 문제는.....주변 사물들에 대한 그래픽입니다. 결국 그런 겁니다. 픽사의 그 주변 그래픽, 예를 들면 픽사의 물 표현력이나, 털 표현, 그리고 주변 사물들 표현력을 기대하시면 실망이 큽니다. 그냥 인물에 집중하셔야 영화가 좋게 느껴집니다.

총 평은.....일단 보러 가시면 됩니다. 팝콘 하나 사 들고 들어 가셔서, 머릿 속에 아무 생각 없이 앉아 계시면, 영화가 즐겁습니다. 깊에 생각 할 필요도 없고 영화를 탐색하듯 보시면 영화가 재미 없을 겁니다.


그리고 또 다시 조언 하나, 웬만하면 큰 화면, 그러니까 IMAX로 보셔야 영화가 더욱 즐거울 겁니다. 그리고....애들 데려 오시면 좀 문제가 있습니다. 영화가 생각보다 잔인하고, 지저분하니까요

반응형
Posted by 라피니
횡설수설 영화리뷰2013. 4. 3. 10:13
(참고로 모든 오프닝은 당시에 쓴 겁니다. 유의 부탁 드립니다.)

 

요즘 영화 리뷰를 하루에 하나씩 하고 있습니다만....이거 만큼 빨리 리뷰 하는 건 사실 처음입니다. 아마 제가 한 중에는 최초일 듯 싶습니다. 영 기분이 꿀꿀해서 그냥 한 편 때리고 온 거죠;;;;

잡소리 집어치우고 리뷰 시작 하겠습니다.

 

 

 

 

 

 

 

 

사실 허영만이라는 이름은 이제 제게는 프랭크 밀러, 밥 케인, 스탠 리 와 동급으로 취급 되는 이름입니다. 뒤의 미국 사람들은 모두 미국 그래픽 노블(만화책이 아닙니다!!!)의 거두죠. 그 만큼 출중한 면모를 자랑하는 작품을을 쓰시는 분이죠. 그린다는 표현이 좀 더 정확하긴 하겠습니다만 일단 스토리에서도 굉장한 재능을 보이시는 분이니 쓴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분량에 있어서는 사실 영화화 하기 힘든 면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무슨 이야기인가 하면 외국의 그래픽 노블은 사실 이야기가 등장인물 외에는 주로 뚝뚝 끊기는 이야기들로 만화를 그리지만 우리나라 특성상 그런 뚝뚝 끊기는 이야기는 잘 나오지 않죠. 사실 허영만화백의 만화도 내용이 끊어지지 않고 이어지는데다 내용이 굉장히 많은 관계로 절대 영화화 하기 쉬운 상대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 한 작품이 탄생 한 전력이 있습니다. 바로 '타짜'입니다.


영화는 상당히 성공적이었습니다. 그러나 내용이 역시 길기 때문에 거의 재구축된 이야기로 결국 밀고 나갔습니다. 사실 그 과정에서는 최동훈감독의 공이 컸던 것은 사실이긴 합니다만.

그리고 드디어 두번째 작품인 식객이 나왔습니다. 식객은 짧은 에피소드가 연속이기는 하지만 하나의 큰 틀의 이야기를 가지고 내용이 진행되기 때문에 어찌 보면 더욱 까다로울 수도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영화적으로 만들수 있는 밀도 높은 이야기만 골라 내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식객은 그 역할을 잘 수행해 냅니다. 원작을 읽어본 바로는 원작과 어찌 보면 비슷하면서도 또 다른 이야기를 창조해 내고 있었습니다. 사실 영화의 길이를 볼 때 그럴 수 밖에 없기는 합니다.

결국 생각보다 매우 볼만한 영화가 되었고 나오는 음식만큼이나 맛깔스러운 영화가 될 뻔 했습니다만.....불행히도 이 영화도 몇가지 약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역시 첫번째는 이야기의 전형성을 들 수 있습니다. 그 문제는 사실 일종의 축약에서 발생하는 부분이라서 뭐라고 하기는 좀 그렇습니다만 착한 요리사와 나쁜 요리사의 대결이라는 매우 일차적이고 유치한 구도로 정의를 내릴 수 있을 정도입니다. 실제로 영화는 그 구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내용이 진행됩니다.

그리고 역시 문제가 되는 것은 인물 설명입니다. 결국 이것도 내용 축약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일 수도 있기는 합니다만 감독과 각본가 재량으로 어느 정도 커버가 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 무리한 축약과 재구축이라는 최악의 약점을 드러냅니다. 사실 어느 정도 이야기 변경을 해야만 하는데 타짜의 평가를 좋지 않게 내렸던 부분, 즉 구성의 대단위 변화라는 부분에 대해서 너무 소심하게 나온 것 같습니다. 이 영화에 가장 아쉬운 부분이죠.

그리고 배우들의 연기는 그냥 평범합니다. 그다지 눈에 띄는 구석은 별로 없습니다. 결국 이 부분에서 임원희라는 배우는 매우 실망스럽습니다.

사실 임원희는 코미디로 시작해서 그 부분에서 일가를 이룬 배우이기는 합니다만 주로 코미디를 했던 배우들 특징이 다른 배역도 어느 정도 잘 소화해 내는(물론 외국 이야기 입니다. 국내는 솔직히....)그런 면들이 있습니다. 전 임원희하는 배우를 약간 짐캐리와 같이 진지한 역도 잘 소화 해 낼 수 있는 배우라고 생각을 했습니다만....그런 배우는 아니었습니다.

사실 진지한 역은 아니고 악역이기는 합니다만 너무 틀에 박힌 연기를 보여줍니다. 물론 그런 연기를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겠습니다만 그래도 좀 너무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러나 이하나의 연기는 더 합니다. 전형적이다 못해 진부한 연기를 보여주니 말이죠. 사실 맡은 배역에 의해 그런 면이 심하게 부각되기는 합니다만 적어도 그렇다면 어느 정도 보여주려는 부분이 있어야 할 듯 싶었습니다만 너무 밋밋하더군요. 이런 결론은 곤란하지만 다른 배우들도 그렇게 눈에 띄는 연기는 없었습니다.

솔직히 이 영화.....카메라 워크가.....심란할 정도로 정직합니다. 어찌 보면 매우 고전적인 방식으로 촬영된 영화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만.....너무 편한 길을 택한 거 같습니다. 하다 못해 만화가 원작이면 특유의 분할 화면을 보여 주기라도 했으면 좋았을 텐데 말이죠.

역시 이번 영화도 매우 아쉬운 점만 적었습니다만 사실 생각보다 꽤나 볼만한 영화 입니다. 어쩌면 이맘때쯤에는 가장 잘 어울리는 영화일 수도 있겠구요.

반응형
Posted by 라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