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 영화리뷰2013. 5. 29. 11:26

(참고로 모든 오프닝은 당시에 쓴 겁니다. 유의 부탁 드립니다.)

 

어쩌다 보니 이번주가 한편이 되었습니다. 솔직히 기쁜일이죠. 아무래도 개인적으로 이런 저런 영화들은 한 번에 땡기다 보니 이런 저런 물건들이 더 눈에 들어오는 것들이 있어서 말이죠. 다른 한 편은 솔직히 개인적으로 좀 묘하게 땡기는 부분들이 있기는 했는데, 도저히 가까운 상영관을 구하는 것이 불가능해서 말입니다. 아무래도 개인적인 부분이기는 하지만, 원가에 많은 부분들이 있기는 해서 말입니다.

그럼 리뷰 시작합니다.



 





사실 제가 이 영화에 관해서 제대로 알고 있는 사정정보는 오직 하나, 이 영화의 원작 소설이 대단히 암울하게 시작을 하는 그런 작품이라는 사실이었습니다. 아동 소설의 표지를 지녔기는 하지만, 그 안에 담고 있는 이야기의 무게가 그 이상을 가지고 있다는 점 역시 굉장히 주목할 만 했고 말입니다. 물론 제가 이 소설을 제대로 읽은 것은 아닙니다. (만약 읽었다면 리뷰를 올렸을 겁니다. 과연 이 소설의 특징이 무엇인지, 포인트는 이거니 저거니 하면서 말입니다.)

결국에는 전 원작의 파괴력을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이 영화를 보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이런 점 때문에 이 영화를 오직 영화로만 평가를 할 수 있는 그런 이점 역시 존재하게 되었죠. 오직 기본 시놉시스와 본 느낌 외에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이 영화를 받아들이게 된 겁니다. 물론 그렇게 함으로 해서 이 영화가 영화화 하게 되면서 원래 소설에 가지고 있었던 여러 가지 요소중 작품을 떠받히기는 하지만 정작 영화적인 요소는 아니기 때문에 빠지는 요소는 무엇인지는 알 수 없기는 하지만 말입니다.

이 요소는 굉장히 미묘한 것들입니다. 원작 소설이 분명히 인기가 있는 이유는 그 요소들 때문이기도 하니 말입니다. 사실 이 지점은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데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요소들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영화는 진행상 문제에 있어서 이런 부분들을 과감히 제거하기도 합니다. 장편소설의 경우 이런 상황이 더더욱 잘 나는 편이죠. 사실 이런 장편 소설의 문제는 그렇게 간단한 것이 아니어서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이 영화가 대단히 애매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부분이 되게 만들기도 합니다.

소설은 길면 길 수록 영화화가 대단히 힘듭니다. 그 문제는 골백번도 더 이야기 했지만, 소설의 흐름과 영화의 흐름은 완전히 다르기 때문입니다. 소설은 기본적으로 끊었다가 읽을 수도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영화는 앉은 자리에서 한 번에 다 보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죠. 결국에는 이 문제에 고나해서 소설은 좀 더 다양하고 깊은 요소들을 가지고 작업을 하게 됩니다. 장편 소설의 경우는 이러한 부분들이 좀 더 촘촘하게 구성이 되기도 하고 말입니다. 결국에는 이런 상황에서 영화화를 한다는 것은 그런 부분들을 재구축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이쯤 되면 원작에서 무엇을 빼고, 영화화를 위해서 영화적인 요소를 무엇을 집어넣어야 할 것인가 역시 굉장한 고민거리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야기를 뺀다고 영화를 만들기에 최적화된 상태는 아니니 말이죠. 오히려 이 상태는 말 그대로 벽돌을 빼버린 그런 벽에 가깝습니다. 남은 재료들을 가지고 영화적으로 무엇을 구성하기 위해서 움직여야 하는지에 고나해서 대단히 복잡하게 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는 것이죠. 이 문제에 관해서는 그동안 많은 영화들이 나름대로의 해답을 보여줬지만, 그 무엇도 정답이며, 그대로 이용하면 된다고 할 수는 없었습니다. (사실 이 지점은 정석화의 문제라기 보다는 영화와 원작의 특징이라는 점에서 갈리는 부분이고, 이건 결국에는 한 영화의 성격을 규정짓는 부분이기도 하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이 발생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 지점에 관해서 이 영화는 대단히 어려운 길을 그대로 가게 되는 상황입니다. 물론 원작 길이가 반지의 제왕급으로 긴 것은 아니지만, 원작 소설은 이미 몇 부로 완결이 되어 있는 상태이고, 그 상태에서 영화가 결국에는 속편도 예비를 해야 한다는 이야기이니 말입니다. 결국에는 속편을 이야기까지 어느 정도 내비치면서, 그 사이에 완결이라는 것 역시 한 면으로서는 내비쳐야 한다는 겁니다. 이 모든 것들이 한 번에 연결이 되어 있는 것이죠.

물론 이 영화가 너무나도 어려운 원작을 택한 것은 아닙니다. 이 영화는 그 반대로 영화적으로 굉장히 흥미로운 부분을 가지기도 하죠. 기본적으로 죽음을 건 게임이라는 케케묵은 소재이기는 하지만, 그 죽음과 체제, 그리고 그 속에서 10대들의 사랑과 대결이라는 점을 가지고 작품을 구성을 한 거싱죠. 이 것들은 결국에는 영화화를 하는 데에 있어서 나름대로 가장 편한 부분들을 거의 그대로 가져온 셈입니다. 이런 영화들은 이미 여럿 나온 적이 있으며, 굉장히 다양한 장르적인 특성을 드러내기도 했으니 말입니다.

사실 이 영화에서 가장 겉으로 드러내는 살육의 게임을 생중계 한다는 것은 그렇게 특이한 소재는 아닙니다. 많은 분들이 이 영화의 10대라는 특성으로 인해서 배틀로얄을 떠올린다는 것은 알겠지만, 제 입장에서 더 설명하기 쉬운 작품은 오히려 게이머입니다. 이 영화만큼 순수한 액션도 없지만, 액션이라는 꺼풀을 벗기면 이 영화에서 써먹은 소재와 무지하게 흡사한 부분 역시 같이 있기 때문입니다. 바로 살육과 죽음의 게임을 중계에서 인기를 얻는다는 것 말입니다.

이 지점은 많은 사람들에게 사실 굉장히 불편한 소재일 수도 있습니다. 결국에는 죽음을 쇼로 보여준다는 이야기이니 말입니다. 이 상황은 사실 굉장히 슬프고 잔인한 것이죠. 그리고 그 속에서 움직이는 것은 결국에는 인간이니 말입니다. 이 부분은 그렇게 기쁜 일은 아닙니다. 결국에는 그 인간이 누군가를 죽이면서 그 쾌락을 얻는다는 이야기이니 말이죠. 이쯤에서 도덕성이 어쩌고 하는 장황한 이야기를 할 수도 있겠지만, 이 부분은 그냥 영화적인 요소에서 어떻게 풀어 나가는가 하는 점으로 대신하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하는건 영화의 평가이지, 영화의 이야기를 인륜적으로 해석하는 일은 아니니 말입니다.

아무튼간에, 이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지점에서 발현되는 사람들의 군상입니다. 무엇보다도, 이 영화는 그 게임 속의 당사즐데 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죠. 이 이야기는 결국에는 이 지점에 관해서 대단히 열심히 다루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지점이 초석이 되어서 그 속의 사람들에 관해 이야기를 하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이 사람들의 관계와, 그들의 관계적인 발전에 관해서 역시 만들어 가는 것이기도 하고 말입니다.

이 이야기는 이런 여러 가지 이점을 안고 있습니다. 결국에는 인간의 가장 잔혹한 속성과 가장 고결한 속성의 대비라는 것을 한 번에 보여주는 것을 시도를 할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제가 이 이야기를 직접적으로 꺼내는 이유는, 이 영화가 블록버스터적인 특성은 생각보다 많이 약하기 때문입니다. 정확히는 이 영화가 그런 기본적인 블록버스터의 속성을 일부러 피해가는 분위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영화의 특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영화를 구성을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그랬을 듯 싶은데, 이 영화는 그 상황에서 몇가지 핵심적인 것들을 놓치고 말았습니다. 심지어는 이 사오항에서 놓치지 말아야 랄 것 역시 어느정도 놓친 부분들이 있죠.

사실 이 영화가 보여주는 가장 미묘한 구석은 이 영화가 상당히 어두운 이야기를 일부러 어둡고 애절하게 표현을 하려고 한다는 점입니다. 일부러 그렇게 함으로 해서, 이 영화에서 ㅎ그 이상의 힘을 보여주는 동시에, 이 영화의 또 다른 부분인 영화적인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그런 스타일로 영화를 만든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좀 애매한 스타일이기는 하지만, 영화가 진짜 무엇을 보여줘야 하는지 그리고 영화가 얼마나 스릴있는지 보다는 말 그대로 스스로 영화의 특성을 그대로 보여주려고 노력하는 방향으로 구성을 하고 있다는 것이죠.

사실 이 지점은 그렇게 간단한 것은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이영화가 할 수 있는 이야기 속에서 어느 정도는 관객에게 직접적으로 들어가는 스타일로 영화를 구성을 하는 방식으로는 가지 않았다는 것이죠. 영화가 무엇을 굉장히 복잡할 수밖에 없는 것이죠. 사실 이 영화는 그렇게 간단한 것은 아니었죠. 이 영화는 솔직히 그렇게 간단한 것은 아닙니다. 사실 이 지점은 이 영화에서 그렇게 쉽게 만들어 가는 그런 것들이 아닌데 말이죠.

이런 영화는 굉장히 복잡한 그런 부분들이 있습니다. 사실 이 지점은 그렇게 간단한 것은 아닙니다. 사실 이 지점은 그렇게 된 것은 아니죠. 사실 이런 스타일에 관해서 이 영화는 굉장히 묘한 부분들이 있죠. 사실 이 영화에서는 이 모든 것들이 스포일러로 연결이 되기 때문에 함부로 뭐라고 겉으로 드러내기가 애매한 그런 부분들이죠. 그리고 이 부분들에 관해서 워낙에 복합적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 영화는 굉장히 강렬하게 등장하게 되는 그런 부분들도 있는 것이죠.

이는 결국에는 시스템적으로 무엇을 구성을 해 넣어야 하는지가 굉장히 중요하게 되는 것이 됩니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는 영화의 흐름을 얼마나 매끄럽게 다듬어서 영화를 만들어 가는지가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행히도 이 영화는 바로 이 지점에서 문제가 생겼습니다. 기본적인 흐름에 관해서 그다지 매끄럽지 못한데다, 영화가 영 들쭉날쭉하게 구성이 되어 가는 것이죠. 이 와중에 복잡한 면을 드러내고 있으니, 이 것이 관객에게 제대로 전달될 리는 만무하고 말입니다.

결국에는 이런 상황에 관해서 이 영화는 그렇게 간단하게 흘러가지 못하는 것들이 있는 것이죠. 아무래도 이 지점은 상당히 복잡할 수 밖에 없는 것은 사실이기는 하지만, 좀 더 신경을 써야만 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분명히 영화가 관객을 제대로 땡겨줘야만 하는 그런 부분들이 있는데, 이 영화는 도저히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죠. 사실상,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전반적을 늘어지게 만드는 것이기도 합니다. 결국에는 영화가 뭔가 매력을 한 번에 가지고 가지는 못한다는 것이죠.

물론 그렇다고 해서 이 영화가 아주 못 볼 물건이라는 것은 아닙니다. 영화적으로 그 에너지는 분명히 가지고 있습니다. 나름대로 노력하는 바도 있고 말입니다. 하지만, 결국에는 안타깝게도 함량 미달에, 이야기가 들쭉날쭉하다는 점에서 아무래도 이 영화가 실망스러운 그런 부분들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일단은 시각적인 볼거리를 어느 정도는 가지고는 있는데, 딱 그 정도라고 할 수 있는 상황이며, 심지어는 그 이상으로 도저히 못 가고 있다는 점입니다. 솔직히 좀 애매한 작품이기는 한 것이죠. 이 와중에 배우들의 연기는 오히려 아쉬울 정도고 말입니다. 이 영화에서는 이런 부분에 관해서 아쉬운 사람들이 너무 많은게 더 문제입니다.

제니퍼 로렌스는 이 영화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대표적인 케이스입니다. 분명히 연기에 관해서 대단히 잘 하는 배우입니다. 이 영화에는 그 부분은 굉장히 잘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만, 이 영화에서 보여주는 것들은 묘한 부분입니다. 사실 이 영화는 굉장히 복잡한 부분입니다. 사실 이 이 영화는 분명히 굉장히 복잡하고 어려운 관점에서 만들어 가고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사실 이 영화에서는 그 매력을 도저히 제대로 사용을 못하고 있더군요.

이런 상황은 조쉬 허치슨에게는 그나마 다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조쉬 허치슨이 연기가 좋다고 말 할 수는 없는데, 이 영화에서 그 매력은 거의 제대로 해석을 못하고 있는 그런 부분들이 있는 것이죠. 이 영화에서 그가 보여주는 것은 다양한 면을 보여주러고 하는 것이 있어야 하는데, 하지만, 이 영화에서는 제대로 표현을 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상화에서 총체적인 난국이라고 할 수 있는 상황에 빠져있는 것이죠.

이 영화에서 엘리자베스 뱅크스는 정말 뭐라고 표현을 못 할 정도입니다. 조쉬 허치슨이 맡은 역과는 또 다른 문제를 안고 있는데, 그 역에 관해서 거의 노력을 안 하고 있는 것이 문제이죠. 이 영화에서 그녀가 보여주는 것은 그냥 딱 대사전달용과 그 당시에 어떤 감정을 전해줄지에 관해서만 보여주는 그런 부분들로 영화를 만들어 가고 있는 그런 상황인 것이죠. 솔직히 전작인 맨 온 렛지에서 보여줬던 다양한 면들이 한 번에 무너지고 있죠.

우디 해럴슨의 경우는 그나마 다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원래 연기가 의외로 굉장한 배우인데다, 이런 지점에 관해서 다양하게 보여주는 그런 부분들도 있는 것이죠. 물론 초반에는 역시나 좀 불안하기는 합니다. 분명히 그 부분에 관해서 좀 더 매력적으로 밀고 갈 수 있는 부분들이 있을 것 같은데, 이 경우에는 비어 보이는 그런 부분들도 있어 보이는 그런 부분들도 있으니 영화의 문제라고 할 수 있는 것이죠. 결국에는 영화 만드는 사람들의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탠리 투치의 경우는 또 다른 묘한 면을 보여준 케이스입니다. 사실 이 영화에서 그가 보여주는 역할은 일종의 도구에 가까운 역할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그의 기본적인 연기에 관해서 이미 자주 본 저로서는 이 사람이 이 영화에서 나오는 분량이라던가, 이 영화에서 보여주는 모습에 관해서는 솔직히 그렇게 다양하게 보여주는 것은 아니라서 좀 아쉬운 부분들이 있기는 한 것이죠.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좀 아쉬운 부분들이 있는 것이죠.

가장 태만하게 가는 것은 결국에는 가장 나이 많은 배우가 되었습니다. 바로 도날드 서덜랜드인데, 이 영화에서 그가 보여주는 연기는 무지하게 평이합니다. 이 양반은 특유의 미묘한 악역을 표현하는 임이 있는 그런 사람들이 있는데, 이 영화는 그렇게 다양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냥 확 들어 와야 하는 그런 부분들이 있는 것이죠. 하지만, 이 영화는 그렇게 만드는 것이 아니죠. 솔직히 좀 아쉬운 그런 부분들이 너무 많은 글너 상황이기도 합니다.

레니 크라비츠의 경우는 솔직히 평가하기가 좀 애매합니다. 이 영화에서는 분명히 연기를 하는 사람이기는 하지만, 분명히 그는 직접적으로 어떤 매력 역시 같이 있는 것이죠. 솔직히 이 영화는 그렇게 재미있는 편도 아니라는 것이죠. 필요한 만큼 보여주고 있고, 영화 속에서 굉장히 특이한 그런 느낌 역시 굉장히 영화에서 만들어 가는 그런 부분들이 있는 것이죠. 이 영화의 미묘한 분위기에서는 아무래도 좀 어울리는 맛이 있기는 합니다.

뭐, 그렇습니다. 이 영화는 분명히 장점이 있기는 합니다. 분명히 특이한 스타일과 미묘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그런 영화이죠. 하지만, 그 이상의 단점이 너무나도 확연히 드러나는 영화입니다. 이런 저런 인간적인 면을 완전히 빼고라도, 영화가 너무 불규칙하게 움직는 혼란을 그대로 드러내는 동시에, 영화가 갑자기 늘어지는 그런 부분들이 영화를 그대로 등장하는 마당인지라, 아무래도 추천하기가 애매한 영화입니다.

반응형
Posted by 라피니